내가 다녔던 고등학교는 무조건 12시까지 야자를 했다. 의무적으로 잡혀있어야 했는데, 그때 나를 키운 8할은 전영혁 선배님 방송이었다. 음질이 좋다고 해서 크롬 테이프나 일본 TDK 테이프 천 개를 사서 날마다 모든 방송을 녹음해가며 들었다. 팻 메시니나 필 만자네라 같은 생소한 아티스트도 그 방송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됐다. 오잔나의 도 그때 처음 들었다. 그날 눈이 무척 많이 왔는데 그 곡을 처음 들었다. 듣는 순간 눈이 오는 배경이 너무 예쁘고 사랑스러워서 일부러 길을 돌아서 갔다. 걸어서 20분 정도 걸리는 길이었는데 언덕길로 돌아가면 40분 정도가 걸렸다. 처음 들은 그 노래가 너무 좋아서 제목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노래 제목을 잘 못 알아들었고 또 하필 그때 테이프가 빨리 끊겨서 노래 제목을 말해..
아버지가 워낙 음악애호가셨다. 클래식을 좋아하고 고등학생 때는 밴드에서 트럼펫도 부셨다. 기본적으론 클래식 애호가셔서 나도 어릴 때부터 아버지 따라서 음악을 많이 들었다. 내가 삼남매 중에 막내인데 아버지를 제일 많이 닮아서 성격이나 음악 듣는 게 비슷했다. 아버지가 클래식 음악을 들을 때면 언제나 나도 같이 오디오 옆에 있었다. 그때 들었던 것들이 지금 음악 일을 하는 것에 연결이 됐다. 어릴 때부터 들었던 음악들 가운데 가장 기억에 남는 게 트윈 폴리오의 이다. 그 노래를 아버지가 그렇게 부르셨다. 클래식을 좋아하시는 분이니까 성악곡도 좋아하시고 오페라 아리아 남자 노래 같은 걸 성악 발성으로 간혹 부르셨는데 대중가요 중에서 유일하게 좋아하시는 가수가 송창식, 그 중에서도 이었다. 아버지가 갖고 있는..
중2때였나. 아직 음알못이라 음악 잡지에서 좋다고 하면 일단 사서 들어보던 때였다. 레드 핫 칠리 페퍼스가 하도 좋다길래 CD로 구입해 듣는데 갑자기 이런 생각이 스쳤다. '이런 걸 '펑키하다'고 하는 건가?' 해설지를 보니 펑크(funk)의 영향이 강한 밴드라고 쓰여 있었다. 평론가의 해설을 듣지 않고 정확히 장르를 맞춘 건 그때가 처음이었다. '어? 내가 장르도 맞출 수 있네?' 아마 그때부터였던 것 같다. 계보니 족보니 따져가며 음악을 들었던 게 말이다. 음악평론가로 활동하면서 가끔 그때가 떠오른다. 그 첫 경험이 없었다면 지금처럼 음악평론가로 살고 있을까? 음악사를 치열하게 파고들거나 모를 때마다 부끄러움을 느낄까? 친구들보다 잘하는 유일한 분야를 찾은 순간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또래들에게 젠체할 ..